-
리만 브라더스 사태 (결)경제 2020. 10. 26. 17:10
안녕하세요 한푼거리입니다.
오늘은 리만 브라더스 사태 이후와 여담에 대해 알아봅시다.
리만 브라더스는 당시 꽤나 큰 충격 이었습니다.
그래서 추후에 영화로 많이 만들어 졌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주택관련 문제를 중점으로 하여 만든 영화는 빅쇼트 가 있습니다.
아마 가장 유명한 경제관련 영화중 하나 이지 않을 까 싶습니다.
그리고 리만 브라더스 사태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영화 마진콜이나 To Big To Fail을 보시면 됩니다.
영화의 재미적 요소로 보자면
빅쇼트가 가장 재미 있었습니다.
마진콜과 To Big To Fail은 정말 그 상황에 대한 긴박감과 그 때 의 인물들이 느꼈던 감정들을 사실적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To Big To Fail 에서 간간히 나오는 워렌 버핏의 등장이 꽤 흥미 로웠습니다.
리만 브라더스와 대한민국이 관련된 재미있는 사건이 있습니다.
한국의 산업은행이 리만 브라더스를 인수할려고 했었습니다.
어쩌면 우리나라가 세계 경제 흐름에 주인공이 될 뻔했습니다.
한국인의 기상
한국인의 매운맛
한국인의 저력
모든 걸 보여 줄 수 있었는데 아쉽습니다.
이렇게 생각 하시면 안됩니다.
당시 리만 브라더스는 자기들이 이미 망할 것이란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발 한명만 걸려라 라는 식으로 M&A(인수합병)를 시도 했습니다.
눈치빠른 대부분의 투자은행들은 모두 쉬쉬 하는 상태였죠
그렇다면 산업은행은 왜 뛰어 들어 갔을까요?
그때 당시 기회재정부와 정부 입장에서는 미국 4대 투자 은행이 너무 싼 값에 있었기에
오? 리만이 이렇게 싸다고? 워렌 버핏님의 기상을 이어가자 싸면 사야지, 미국 4대 투자은행이 이렇게 싼데 안사면 호구지
리만 입장에서는
제발 한명만 걸려라, 우리 위기가 오긴 했지만 리만이야 4대 은행중 하나라고, 근데 지금 내가 싸게 넘길게
(오우 한명 잡았고 개이득)
그 당시 아시아의 은행들은 야구로 치면 마이너같은 느낌이 었기에 리만을 인수하여 메이저로 가는 발돋움을 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래서 민유성 총재는 강력히 지분인수를 제안 했다고 합니다.
(나중에 그가 개인적으로 리만의 주식을 매입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리만에 대한 확신이 있었나 봅니다)
하지만
정부내에서 산업은행이 리만 브라더스를 인수하면서 외화가 너무 많이 유출되는 고려하여 결국에는 인수 하지 않았습니다. 영화 To Big To Fail에서 보면 보면 리만 브라더스가 얼마나 회사를 팔고 싶어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사실 한국인으로서 그걸 보면
진짜 나쁜 놈들이네.... 이 생각이 저절로 듭니다.
산업은행이 인수를 하지 않겠다고 결정한 후 4일 후 리만 브라더스는 파산하게 됩니다.
거의 뭐 산업은행에게 자기 회사를 팔기 위해 파산을 미뤘다고 좋을 정도의 매매 타이밍입니다.
산업은행은 발을 담구기도 전에 뺏지만
이미 발을 담구고 있던 멋진 곳이 있었습니다.
바로 한국은행입니다.
한국은행은 파산 신청당일까지도 리만 브라더스의 채권을 상당액 보유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행이도 채권을 모주 회수하여 대한민국민의 혈세를 지킬 수 있었다.
어쩌면 리만 브라더스 사태를 우리나라가 직격으로 맞을 뻔했다.
이게 좋게 풀려서 망정이지
한국은행이 채권을 회수 하지 못했다면
산업은행이 리만의 일부를 인수 했다면......
그래서 우리나라는....?
초이 노믹스 (Choinomics = Choi 최 + Economics)
대한민국의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경환 장관님의 경제 정책을 의미한다. 2014년 7월17일에 공식 출범 하였다.
이 정책은 핵심은 금리를 낮추는 것이다.
부동산을 담보로 하면 쉽게 돈을 빌릴 수 있게 했으며,
기업이 소유한 돈을 여러 정책(배당 확대, 과세)을 통해 시장에 유통시켰다.
즉 유동성을 키운 것이다.
당시 경기 침체를 탈피하기 위해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와 시장의 유동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정책을 펼쳤다고 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 부동산의 가격은 계속 올랐다.
왼쪽은 미국의 금리 오른쪽은 대한민국의 금리 추이 출처 : https://ko.tradingeconomics.com/ 우리나라 또한 금리가 0%인 때에 도착했다.
대한민국 주택매매 가격 변동률 출처 :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54#quick_02; 주택 매매 가격 변동률이란 기준 시점 주택 매매 가격을 100으로 했을 때 해당 시점 주택 매매 가격의 비를 의미한다.
위 그래프를 보면 집 값이 꾸준히 오른 것을 볼 수 있다.
2011 ~ 2020 의 주택 전세 및 매매 가격 추이 출처 : https://www.index.go.kr/main.do?cate=6 계속되는 개편되는 부동산 정책으로 부동산 가격이 다소 내려 가는 것을 볼수 있다.
그래도 아직 상승 폭에 있는 것은 맞다.
대한민국 국민의 개인 부채 개인의 부채 또한 천장을 뚫기 직전이다.
즉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것이다. 금리를 올리면 저 부채를 진 개인들이 힘들어지며 자본의 유동성 감소로 경제 부흥을 하기 힘들어진다.
하지만 저금리가 계속 되자 부동산의 가격은 계속 올랐다.
우리 개인을 생각해 봐도 부채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 우리나라는 전세라는 특이한 제도가 있다.
부동산에 묶여있을 자본에 유동성을 부여한 것인데
이 자본마저 갭 투자에 의해 부동산에 계속 묶여 있고 있다.
갭 투자에 의해 레버리지의 레버리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갭투자는 전세 제도에 의해 태어 난 것이다.
버블은 언젠가 터지는 것이 맞다.
그런데 그것이 언제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미국의 경우 보증을 선 은행과 보험사들이 휘청 거렸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갭투자를 사람들과 그 갭투자에 자기 자본이 흘러간 일반 주택 전세자들이 입는 것을 아닐까
갭투자자들의 부채는 그 주체가 갚지 못하지 않을까
그러면 그 부채는 누구에게 갈지가 의문이다.
전세자들에게 간다면 어떡하지....
갭투자는 확실히 정부에서 제한 시키는 것이 맞지 않을까
갭투자는 말이 좋아 투자이지 투기 아닐까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낮은 신용도의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 주었듯이
우리나라의 갭투자자들은 부채를 모두 상환할 만큼의 신용이 있을까
빅쇼트 (공매도)와 갭투자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다소, 굉장히, 매우 , 아주 편협적이고 부족한 지식과 정보, 개인적인 시각에서 나오는 생각과 의견이 있습니다. 1. 빅쇼트, 서브프라임 모기지, 영화 빅쇼트를 아시나요? 미국에서 일어났던 서브
story-opinion.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0) 2020.10.27 리만 브라더스 사태 (전) (0) 2020.10.24 리만 브라더스 사태 (승) (0) 2020.10.22 장기 투자 : 존버만이 살길이다 (0) 2020.10.18 리만 브라더스 사태 (기) (0) 2020.10.14